Skip to content
김다예 edited this page Jul 31, 2023 · 3 revisions

그라운드 룰

Check In/Out

  • 10:00 까지 모든 준비(노트북 세팅 등 작업을 시작할 준비, 스크럼 시작 전 코멘트 준비 등)가 완료된 상태로 프로젝트 룸에서 대기합니다.
  • 12:30 부터 14:00 까지 점심 식사 및 휴식을 취합니다.
  • 18:00 이전까지 회고를 할 준비를 끝내도록 합니다. 단, 그룹 내 피어세션은 동일 시간 금요일에 진행되므로 제외합니다.
  • 19:00 까지 스크럼에서 정한 일들을 모두 끝냈을 때 귀가합니다. 단,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그룹 구성원 모두 남아서 과제를 수행합니다.
  • 귀가 관련 사항은 2주차부터 적용됩니다. 1주차에는 자율적으로 목표를 맞추어 일정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팀 내에서 태도

  • 소통을 통해 모르는 내용을 바로 물어보는 태도를 취합니다. (단, 팀원들에게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질문 이전에 찾아보려는 노력을 하도록 합니다.)
  • 러버덕 디버깅을 적용하여 팀원들과 소통하면서 문제 해결능력을 높이는 방안을 채택합니다.
  • 프로젝트 기간동안 좋은 분위기를 위해서 팀원을 배려하는 태도를 가집니다.
  • 계획 수정시에는 팀원과 협의를 통해 수정합니다.

팀 내 규칙

  • 1일 1커밋하기 (최소 기준이기 때문에 더 많은 과제를 수행하도록 노력합니다.)
  • 이슈를 만들고 팀원들과 함께 각 이슈의 소요시간 예측하도록 합니다.
  • 프론트/백엔드 간 데이터 전달 시 API 명세 반드시 하도록 합니다.
  • 수정사항은 수정 시작 전에 미리 팀원들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 도메인 네임 규칙 지켜서 개발하도록 합니다.

Convention

Commit Convention

  • 커밋 메시지 첫 줄 컨벤션은 다음과 같다.
    [태그] #{issue number}: 커밋 메시지의 형태이며 :뒤에만 space가 있음에 유의한다.

예시

[FEAT] #1: 작업 내용

Commit Tag

  • 태그는 영어로 쓰되 대문자로 한다.
  • 태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 FEAT: 기능 구현
    • FIX: 버그 수정
    • DOCS: 문서 작업
    • REFACTOR: 리팩토링
    • TEST: 테스트 코드
    • CHORE: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 ADD: assets, data 파일 추가하는 경우
    • STYLE: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 UI 디자인 변경 → 코드 변경이 없는 경우

협업 전략

branch 전략

  • Git Flow 전략 응용

Pull Request

  • Pull Request 같은 파트 다른 팀원이 리뷰 후 approve/revert

매주 계획하기

  • 매주 월요일 스프린트 계획 회의에 정한 내용을 Jira/Github Issue로 정리

브랜치 룰

Branch Type

  • main : 배포 가능한 상태의 브랜치
  • dev : 개발 과정 중 하나의 feature/bug를 완료하고 merge하는 브랜치
  • feat :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브랜치
  • hotfix : main에서 긴급한 수정사항이 생겼을 때 수정하는 브랜치
  • bugfix : 개발 과정 중 발생한 버그를 수정하는 브랜치

Naming method

  • branch 양식 {옵션}/{브랜치 명} (소문자, kebab-case) ex) feat/option-se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