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6장, 7장 정리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hyesungoh committed Jan 16, 2024
1 parent 9216909 commit f349db4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2 changed files with 74 additions and 0 deletions.
34 changes: 34 additions & 0 deletions 6장/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4 @@
# 리액트 개발 도구로 디버깅하기 정리

## 이은지

* 실제로 해보고 싶은 내용 위주로 정리
* 컴포넌트 탭에서 props와 hooks을 볼 수 있다는 것
* 실제 프로덕트에서는 프로파일러 탭이 너무 복잡하게 되어 있었음
* 개발 중간 중간에 디버깅과 성능 개선을 해야한다는 말에 공감

## 권오연

* 다른 서비스에서 컴포넌트 탭을 실행해봄

## 오혜성

* 프로파일러 탭에서 렌더링 이유를 통해 개선했던 경험
* 개발 모드에서 effect가 두 번 실행되는 것을 방지했던 라이브러리를 본 적 있음
* 실제 프로덕트같은 복잡도가 높은 상태에서 디버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짧게 짧게하면 좋을 것 같음

## 서준환

* 리렌더링 시각화 효과를 많이 사용했음
* 로그를 직접 찍지 않아도 편하지만 아직 익숙하지 않은 것 같음

## 김동규

* Emotion을 사용하면 컴포넌트 트리가 더러워졌던 경험
* 렌더링 이유를 말해주는 것

## 정대윤

* 오늘 실무에 적용할 수 있었음
+ 비디오 태그의 source 변경 시 적용되지 않았던 문제
* 언제 어떻게 업데이트되는지 알 수 있는 것이 좋았다
40 changes: 40 additions & 0 deletions 7장/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0 @@
# 크롬 개발자 도구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분석

## 이은지

* 책을 통해 각 탭을 알 수 있어서 좋았음
* 요소 자체에 중단점 걸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고 느껴짐
* 메모리 탭 경험이 없는데, 다른 분들의 경험이 궁금함
* Next.js 서버 환경 디버깅 방법
+ ab 라이브러리

## 오혜성

* 메모리 누수를 확인할 때 얕은 크기와 유지된 크기를 확인해야 함
+ 얕은 크기는 객체 자체의 크기
+ 유지된 크기는 객체가 참조하고 있는 모든 객체들의 크기
* 기명 함수 굿!
* 소스 탭에서 `cmd + p`를 눌러 파일명으로 찾을 수 있음
* [localtorjs](https://www.locatorjs.com/) 도구를 이용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

## 서준환

* 중단점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popover 같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음
* Next.js 메모리 누수를 간과하고 있었으나 예제를 통해 직접적으로 알게 됨
*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풀 스크린샷 찍을 수 있음
*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사용된 폰트, 색상 정보를 모아볼 수 있음

## 김동규

* 요소 탭에서 엘리먼트 보기 편한 익스텐션
* 요소 탭에서 접근성 관련 작업을 진행할 때
+ 크롬 설정 > 실험 > `Enable full accessibility tree view in the Elements panel` > 요소의 접근성을 한눈에 볼 수 있음
* 소스맵이 올라가지 않나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음

## 정대윤

* 크롬 개발자 블로그에 잘 설명되어 있음
* Next.js 메모리 디버그를 실무에 적용해볼 수 있을 것 같음
+ 벤치마킹 도구도 사용해 볼 수 있을 것 같음
* next-shared-cache를 통해 RSC를 서빙했던 경험 공유

0 comments on commit f349db4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