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update: 01-fig-02-redraw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shanmdphd committed Aug 12, 2022
1 parent b35f6fb commit d36a86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40 changed files with 3,690 additions and 1,804 deletions.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01.R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3,7 +23,7 @@ knitr::include_graphics('figures/01-fig-01.png')
그런데 실제상황에서 어떤 약의 임상시험이나 시판을 위한 용량용법을 결정하고자 할 때, 환자들에서의 PK와 PD와의 관계는 그림 \@ref(fig:pkpd-modeling-concept)에서처럼 매끈한 하나의 곡선끼리의 조합으로 정의할 수는 없게 된다. 단 한 사람의 환자라면 이것이 가능할지 모르나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환자들을 대표하는 곡선들과 그 신뢰구간들을 포함하는 좀 더 복잡한 모델을 만들어야 될 것이다(그림 \@ref(fig:pkpd-population-concept)). 이런 모델을 이용해서 약효나 부작용을 예측한다면 단순히 ‘얼마를 주면 효과가 있다’ 보다는, 이를테면 ‘특정 환자집단에게 이 약을 매일 100 mg씩 주면 환자들의 90%는 최대약효의 80% 이상을 나타내고, 95%는 70% 이상을 나타내고, 또 그 중 10%는 grade 1의 부작용을 경험할 것이다.’와 같은 좀 더 정교하게 예측하는 방식이 될 것이다. PK/PD 모델링 중에서도 이렇게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통계학적 기법을 적극적으로 쓰는 연구방식을 population PK/PD 모델링 (집단 약동/약력학 모델링)이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집단약동/약력 모델링은 혼합효과 모델링(mixed-effects modeling)이라는 방법론을 쓰고 있으며 이 방법을 적용하여 모델을 만들고 파라미터들을 찾아내는 소프트웨어가 몇 종이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가장 일찍 개발되어 널리 쓰이는 것이 NONMEM이다.

```{r pkpd-population-concept, fig.cap = "집단(population)의 분포값들을 고려한 PK-PD 모델링의 개념", out.width="100%"}
knitr::include_graphics('figures/01-fig-02.png')
knitr::include_graphics('figures/01-fig-02-redraw.png')
```

PBPK는 동물에서 얻어진 약동학 자료와 in vitro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사람에서의 약동학이나 약물-약물 상호작용 등을 종간의 생리학적 수치 차이를 적용하여 추정하는 연구방법이다. 집단 모델링 방법에는 종간의 생리학적 차이 등이 거의 고려되지 않았지만 PBPK는 이처럼 실험실에서의 시험관내 실험, 동물실험 연구 자료들을 바탕으로 사람의 약동학을 추정하므로 상향식(bottom-up) 방식의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은 PBPK와 집단 약동/약력학 모델링을 모두 계량약리학이라는 학문분야에 포함된다고 보고 있다.
Expand Down
487 changes: 487 additions & 0 deletions docs/404.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97 changes: 64 additions & 33 deletions docs/IE.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79 changes: 50 additions & 29 deletions docs/PRED.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95 changes: 63 additions & 32 deletions docs/basic-pkpd.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1,428 changes: 671 additions & 757 deletions docs/basic_files/figure-html/theophconctime-1.sv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268 changes: 189 additions & 79 deletions docs/control-stream.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124 changes: 79 additions & 45 deletions docs/cov.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157 changes: 94 additions & 63 deletions docs/covariate-analysis.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142 changes: 87 additions & 55 deletions docs/delayed-effect.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88 changes: 55 additions & 33 deletions docs/diag-eval.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114 changes: 68 additions & 46 deletions docs/effect-model.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110 changes: 66 additions & 44 deletions docs/estimation-methods.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159 changes: 113 additions & 46 deletions docs/evaluation.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Binary file added docs/figures/01-fig-02-redraw.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99 changes: 64 additions & 35 deletions docs/fit.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91 changes: 60 additions & 31 deletions docs/general-advan.html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54 changes: 38 additions & 16 deletions docs/index.html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20 +6,19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title>계량약리학 워크샵 - 초급 과정</titl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혼합효과 모델링(mixed-effects modeling)은 신약개발과 임상시험, 시판허가 등의 주요 의사결정에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는 계량약리학적 접근법의 핵심적인 기법으로서 그 기본개념을 익히는 것이 결코 쉽지 않습니다. 2009년부터 매년 개최해 온 PK/PD 워크샵의 내용 중에서 basic-1과 2의 교재를 입문자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권의 책으로 펴냈습니다. 약동-약력학 모델링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하는 NONMEM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위에 알아야 하는 기본개념들과 그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
<meta name="generator" content="bookdown 0.21 and GitBook 2.6.7" />
<meta name="generator" content="bookdown 0.28 and GitBook 2.6.7"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계량약리학 워크샵 - 초급 과정" />
<meta property="og:type" content="book" />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pipet.or.kr/books/basic"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pipet.or.kr/books/basicimages/cover.jpg"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pipet.or.kr/books/basic/images/cover.jpg"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혼합효과 모델링(mixed-effects modeling)은 신약개발과 임상시험, 시판허가 등의 주요 의사결정에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는 계량약리학적 접근법의 핵심적인 기법으로서 그 기본개념을 익히는 것이 결코 쉽지 않습니다. 2009년부터 매년 개최해 온 PK/PD 워크샵의 내용 중에서 basic-1과 2의 교재를 입문자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권의 책으로 펴냈습니다. 약동-약력학 모델링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하는 NONMEM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위에 알아야 하는 기본개념들과 그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
<meta name="github-repo" content="pipetcpt/basic" />

<meta name="twitter:card" content="summary" />
<meta name="twitter:title" content="계량약리학 워크샵 - 초급 과정" />

<meta name="twitter:description" content="혼합효과 모델링(mixed-effects modeling)은 신약개발과 임상시험, 시판허가 등의 주요 의사결정에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는 계량약리학적 접근법의 핵심적인 기법으로서 그 기본개념을 익히는 것이 결코 쉽지 않습니다. 2009년부터 매년 개최해 온 PK/PD 워크샵의 내용 중에서 basic-1과 2의 교재를 입문자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권의 책으로 펴냈습니다. 약동-약력학 모델링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하는 NONMEM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위에 알아야 하는 기본개념들과 그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
<meta name="twitter:image" content="http://pipet.or.kr/books/basicimages/cover.jpg" />
<meta name="twitter:image" content="http://pipet.or.kr/books/basic/images/cover.jpg" />

<meta name="author" content="가톨릭대학교 계량약리학연구소(PIPET) 펴냄 (대표저자 임동석)" />

Expand All @@ -32,8 +31,7 @@


<link rel="next" href="intro.html"/>
<script src="libs/header-attrs/header-attrs.js"></script>
<script src="libs/jquery/jquery.min.js"></script>
<script src="libs/jquery/jquery-3.6.0.min.js"></script>
<link href="libs/gitbook/css/style.css" rel="stylesheet" />
<link href="libs/gitbook/css/plugin-table.css" rel="stylesheet" />
<link href="libs/gitbook/css/plugin-bookdown.css" rel="stylesheet" />
Expand All @@ -49,8 +47,8 @@




<link href="libs/anchor-sections/anchor-sections.css" rel="stylesheet" />
<link href="libs/anchor-sections/anchor-sections-hash.css" rel="stylesheet" />
<script src="libs/anchor-sections/anchor-sections.js"></script>
<script src="libs/kePrint/kePrint.js"></script>
<link href="libs/lightable/lightable.css" rel="stylesheet" />
Expand All @@ -60,6 +58,7 @@
pre > code.sourceCode { white-space: pre; position: relative; }
pre > code.sourceCode > span { display: inline-block; line-height: 1.25; }
pre > code.sourceCode > span:empty { height: 1.2em; }
.sourceCode { overflow: visible; }
code.sourceCode > span { color: inherit; text-decoration: inherit; }
pre.sourceCode { margin: 0; }
@media screen {
Expand Down Expand Up @@ -93,7 +92,7 @@
code span.an { color: #60a0b0; font-weight: bold; font-style: italic; } /* Annotation */
code span.at { color: #7d9029; } /* Attribute */
code span.bn { color: #40a070; } /* BaseN */
code span.bu { } /* BuiltIn */
code span.bu { color: #008000; } /* BuiltIn */
code span.cf { color: #007020; font-weight: bold; } /* ControlFlow */
code span.ch { color: #4070a0; } /* Char */
code span.cn { color: #880000; } /* Constant */
Expand All @@ -106,7 +105,7 @@
code span.ex { } /* Extension */
code span.fl { color: #40a070; } /* Float */
code span.fu { color: #06287e; } /* Function */
code span.im { } /* Import */
code span.im { color: #008000; font-weight: bold; } /* Import */
code span.in { color: #60a0b0; font-weight: bold; font-style: italic; } /* Information */
code span.kw { color: #007020; font-weight: bold; } /* Keyword */
code span.op { color: #666666; } /* Operator */
Expand All @@ -120,6 +119,29 @@
code span.wa { color: #60a0b0; font-weight: bold; font-style: italic; } /* Warning */
</style>

<style type="text/css">
/* Used with Pandoc 2.11+ new --citeproc when CSL is used */
div.csl-bib-body { }
div.csl-entry {
clear: both;
}
.hanging div.csl-entry {
margin-left:2em;
text-indent:-2em;
}
div.csl-left-margin {
min-width:2em;
float:left;
}
div.csl-right-inline {
margin-left:2em;
padding-left:1em;
}
div.csl-indent {
margin-left: 2em;
}
</style>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type="text/css" />
</head>

Expand Down Expand Up @@ -381,18 +403,18 @@ <h1>
<div id="header">
<h1 class="title">계량약리학 워크샵 - 초급 과정</h1>
<p class="author"><em>가톨릭대학교 계량약리학연구소(PIPET) 펴냄 (대표저자 임동석)</em></p>
<p class="date"><em>Ver. 20201105</em></p>
<p class="date"><em>Ver. 20220812</em></p>
</div>
<div id="머리말" class="section level1 unnumbered">
<h1>머리말</h1>
<div id="머리말" class="section level1 unnumbered hasAnchor">
<h1>머리말<a href="index.html#머리말" class="anchor-section" aria-label="Anchor link to header"></a></h1>
<p><a href="https://pipetcpt.github.io/basic/basic.pdf"><img src="images/cover-pdf.jpg" style="max-width:40%;min-width:80px;float:right;margin: 10px 10px 5px 5px" alt="표지" /></a></p>
<p>계량약리학은 신약개발 현장에서 제기되는 질문들에 대한 답을 정량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과정에서 정립되어온 학문입니다. 물론 계량약리학은 이미 허가된 약들의 적절한 용법을 찾는 데에도 쓸 수 있지만, 신약개발이라는 큰 목표를 빼고서는 이 어려운 방법론을 배워야 할 이유를 찾기는 힘듭니다. 우리나라의 신약개발은 짧은 역사 속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발전해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계량약리학에 대한 수요가 이만큼이나마 늘어난 것은 2010년대 중반 이후 두드러지게 보이는 이 같은 분위기의 변화와 맞물려 있겠습니다.</p>
<p>혼합효과 모델링(mixed-effects modeling)은 신약개발과 임상시험, 시판허가 등의 주요 의사결정에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는 계량약리학적 접근법의 핵심적인 기법으로서 그 기본개념을 익히는 것이 결코 쉽지 않습니다. 서울성모병원 임상약리과와 가톨릭대학교 계량약리학연구소(PIPET, Pharmacometrics Institute for Practical Education and Training)는 혼합효과 모델링 기법을 가르치는 PK/PD 워크샵을 2009년도부터 매년 개최해 왔습니다. 시작할 때부터 지금까지 정부나 기업의 어떤 도움이나 간섭없이 사막에 씨앗을 뿌리는 심정으로 매년 그 내용을 양적, 질적으로 보완하면서 basic-1, basic-2, intermediate-1, intermediate-2의 서로 연결되는 각 1.5일의 교육 과정으로 발전시켜 왔습니다. 이제 십여 년간 축적되어온 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입문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하고 따라갈 수 있도록 워크샵의 basic-1과 2의 강의, 실습내용을 고스란히 옮겨 담은 교재를 책으로 펴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 실린 내용들에 상응하는 워크샵 슬라이드와 실습용 파일들은 웹<a href="#fn1" class="footnote-ref" id="fnref1"><sup>1</sup></a>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 자료들과 이 책으로 함께 공부한다면 따로 워크샵을 듣지 않고도 basic-1과 2의 내용을 따라갈 수 있을 것입니다.</p>
<p>PIPET의 구성원들은 우리말로 된 입문용 교재가 전무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2016년도에 ‘비선형혼합효과 모델을 적용한 집단 PK/PD 분석입문’(Joel S Owen, Jill Fiedler-Kelly 공저)을 번역, 출간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국내 연구자들의 손으로 직접 집필한 이 PK/PD 모델링 교재까지 나왔으므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인프라가 완비되었다고 자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사서 열심히 보실 분들 중에는 관련 분야의 대학원생들이 많을 것이므로 책 전체를 인터넷 상에 공개하여 내려 받을 수 있게 하였습니다.<a href="#fn2" class="footnote-ref" id="fnref2"><sup>2</sup></a> 또한, 동시에 출간하는 종이책의 경우에도 컬러 인쇄를 유지하며 책값을 복사비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기존의 알려진 출판사들을 피하여 인터넷 서점 등에서 print on demand로 주문할 수 있는 개인출판의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각 장의 저자들은 모두 워크샵에서 강사로 활동해 주신 분들로서 자신이 맡은 시간에 해당하는 원고를 작성하였고, 워크샵에 포함된 부분은 아니지만 이론적인 일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울산의대의 배균섭 교수님께서 한 장을 맡아 주셨습니다. 모아진 원고들에 대한 정리, 색인, 조판 과정에서 애써 주신 한성필, 한승훈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지난 십여 년간 저희가 매년 개최해 온 워크샵들에 등록하여 열심히 익히고 질문을 해 주신 식약처와 제약/바이오 업계의 수많은 연구자분들, 전국의 대학원생들께 또한 감사드립니다. 참가자들의 귀중한 질문과 피드백이 없었다면 이 책은 완성될 수 없었을 것입니다.</p>
<p>학계의 PK/PD 전문가들이 우리나라의 신약개발에 기여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신약개발의 최전선에서 일하고 있는 제약/바이오 업계의 풀뿌리 연구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사명감으로 맨땅에서 시작한 이 코스를 지난 십 수년간 오늘의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게 해 준, PIPET을 거쳐간 귀한 젊은 연구자들의 공헌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름난 분들을 초빙해서 청중을 모으고 신문에 내는 행사를 수십 번을 한들, 젊은이들의 앞날을 염려하고, 이들을 제대로 가르치겠다는 의지가 없다면 그저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이벤트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 곳에 사람과 돈이 몰릴지는 몰라도, 한편에서는 세상의 각광과는 무관하게 소신대로 제 갈 길을 가는 소수가 있기 마련입니다. 매년 열던 워크샵을 책으로 엮어 내는 이 번거로운 작업도 그런 소신을 실천하는 것이며, 한국의 신약개발을 위해 작은 밑거름이라도 된다면 저자들은 큰 보람을 느낄 것입니다.</p>
<p>2020년 여름 성의교정 연구실에서<br>대표저자 임동석 拜</p>
<hr />
<p>인용한 그림은 모두 새로 그렸고, 출처를 명시하였습니다. <br>본 도서는 <a href="http://www.bookk.co.kr/book/view/84646">부크크(bookk.co.kr)</a>, <a href="http://aladin.kr/p/UNBXB">알라딘(aladin.co.kr)</a>, <a href="http://www.yes24.com/Product/Goods/91747331">YES24(yes24.com)</a>에서 “계량약리학 워크샵”으로 검색하여 구입할 수 있습니다. (ISBN 979-11-372-1390-6) <br>정오표는 <a href="https://github.com/pipetcpt/basic/issues" class="uri">https://github.com/pipetcpt/basic/issues</a>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탈자 보고도 같은 위치에 해 주십시오. (웹북은 즉시 교정하고, 종이책은 매달 업데이트 예정입니다.)</p>
<p>인용한 그림은 모두 새로 그렸고, 출처를 명시하였습니다. <br>본 도서는 <a href="http://www.bookk.co.kr/book/view/84646">부크크(bookk.co.kr)</a>, <a href="http://aladin.kr/p/UNBXB">알라딘(aladin.co.kr)</a>, <a href="http://www.yes24.com/Product/Goods/91747331">YES24(yes24.com)</a>에서 “계량약리학 워크샵”으로 검색하여 구입할 수 있습니다. (ISBN 979-11-372-1390-6) <br>정오표는 <a href="https://github.com/pipetcpt/basic/issues" class="uri">https://github.com/pipetcpt/basic/issues</a>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탈자 보고도 같은 위치에 해 주십시오. (웹북은 즉시 교정하고, 종이책은 매달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내용에 대한 질문과 토론은 <a href="https://github.com/pipetcpt/basic/discussions" class="uri">https://github.com/pipetcpt/basic/discussions</a> 에서 가능합니다. 구글 클래스룸에서 동영상 강의도 제공하고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은 위 링크로 요청해주십시오.</p>
<!--
2020년 여름 성의교정 연구실에서<br>대표저자 임동석 拜
-->
Expand All @@ -418,7 +440,6 @@ <h1>머리말</h1>
</div>
</div>
<script src="libs/gitbook/js/app.min.js"></script>
<script src="libs/gitbook/js/lunr.js"></script>
<script src="libs/gitbook/js/clipboard.min.js"></script>
<script src="libs/gitbook/js/plugin-search.js"></script>
<script src="libs/gitbook/js/plugin-sharing.js"></script>
Expand All @@ -437,6 +458,7 @@ <h1>머리말</h1>
"weibo": false,
"instapaper": false,
"vk": false,
"whatsapp": false,
"all": ["facebook", "twitter", "linkedin", "weibo", "instapaper"]
},
"fontsettings": {
Expand All @@ -457,14 +479,14 @@ <h1>머리말</h1>
"text": null
},
"download": ["basic.pdf"],
"search": false,
"toc": {
"collapse": "section",
"scroll_highlight": true
},
"toolbar": {
"position": "fixed"
},
"search": false,
"info": false
});
});
Expand All @@ -476,7 +498,7 @@ <h1>머리말</h1>
var script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cript.type = "text/javascript";
var src = "true";
if (src === "" || src === "true") src = "https://mathjax.rstudio.com/latest/MathJax.js?config=TeX-MML-AM_CHTML";
if (src === "" || src === "true") src = "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mathjax/2.7.9/latest.js?config=TeX-MML-AM_CHTML";
if (location.protocol !== "file:")
if (/^https?:/.test(src))
src = src.replace(/^https?:/, '');
Expand Down
Loading

0 comments on commit d36a86d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