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 DBMS 아키텍처 개요 (1장) #70
Unanswered
Irisation23
asked this question in
c. Database
Replies: 0 comment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
DBMS 아키텍처 개요
현재 사용되는 RDB(Relational Database) 제품은 Oracle, Microsoft SQL Server, DB2, PostgreSQL, MySQL 등 여러가지가 있다.
해당 제품들은 내부 아키텍처들이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RDB로써 기능을 제공하는 목적은 동일하다.
해당 정리는 DBMS 아키텍처의 구성 및 특징에 대한 정리이다.
DBMS 내부동작
1. 쿼리 평가 엔진
쿼리 평가 엔진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SQL 구문을 분석하고, 어떤 순서로 기억장치의 데이터에 접근할지를 결정한다.
결정되는 계획을
실행 계획 혹은 실행 플랜(Explain Plan)
이라 한다.실행 계획에 기반을 둬서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을
접근 메서드(access method)
라 한다.2. 버퍼 매니저
DBMS는 버퍼라는 용도로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을 확보해 둔다.
해당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는 것이
버퍼 매니저
이다.3. 디스크 용량 매니저
웹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실행되는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하면 되지만,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해야 한다.
4. 트랜잭션 매니저와 락 매니저
상용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사람은 다수이다.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이 다수가 되어 여러 작업을 하게될텐데, 이때 각각의 처리는 DBMS 내부에서
트랜잭션
이라는 단위로 관리된다.해당
트랜잭션
은 정합성의 유지가 필수적이다.5. 리커버리 매니저
DBMS의 데이터중에는 절대로 소실되어서는 안되는 데이터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시스템은 언제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여러 방법이 있을테지만 두가지로 정리 해 보자면
해당 라벨(SQL 레벨업)은 해당 주제에서 다뤘던 여러 내용 중
성능
에 초점을 맞춰 다뤄질 내용임을 알고있자.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