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4 comments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교착상태(데드락)란 무엇이며, 교착상태가 발생하는 조건을 설명해주세요.🌱 [ deadLock ] :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자원을 점유한 채로 서로의 자원을 기다리며 무한정 기다리는 상태ex) [ 교착 상태 발생 조건 ][ 자원 관점 ]
[ 프로세스 관점 ]
❓ 그렇다면 3가지만 충족하면 왜 Deadlock 이 발생하지 않을까요? / 어떤 방식으로 예방할 수 있을까요?🌱 [ 교착상태 예방 ][ 상호 배제 발생 X ]
[ 상호 배제 - 예방법 ]
[ 비선점 발생 X ]
[ 비선점 - 예방법 ]
[ 점유와 대기 발생 X ]
[ 점유와 대기 - 예방법 ]
[ 순환 대기 발생 X ]
[ 순환 대기 - 예방법 ]
정리 : 교착 상태를 예방 하려면 심각한 자원 낭비가 발생 합니다. 🌱 [ 교착상태 회피 ]
[ 회피 알고리즘2 - Habermann’s algorithm ]
정리 : 데드락의 발생은 막을수 있으나 항상 시스템을 감시 하고 있어야 하고, 필요한 자원의 종류 수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왜 현대 OS는 Deadlock을 처리하지 않을까요?
❓ Wait Free와 Lock Free를 비교해 주세요.락 기법의 한계 : 서로 필요한 자원의 락을 잡고 있으면 교착 상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Lock-Free ] : 락 없이 최소한 하나의 스레드는 작업을 완료 할수 있는 기법
[ Wait - Free ] : 모든 스레드가 유한 시간안에 작업 완료를 보장 하는 알고리즘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wdaf2gy83uU 한기대 교수님 강의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Deadlock이 동작하기 위한 4가지 조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답변
그렇다면 3가지만 충족하면 왜 Deadlock이 발생하지 않을까요?✅ 답변
따라서, 세 가지 조건만 충족된다면 순환 대기 조건이 없어서 Deadlock이 발생하지 않으며, 순환 대기 조건이 포함된 경우 4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Deadlock이 발생합니다. 어떤 방식으로 예방할 수 있을까요?✅ 답변
왜 현대 OS는 Deadlock을 처리하지 않을까요?✅ 답변
Wait Free와 Lock Free를 비교해 주세요✅ 답변 Wait-free는 모든 스레드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는 것에 비해, Lock-free는 일부 스레드가 블로킹될 가능성이 있지만, 구현이 더 쉽고 성능이 높은 경우가 많음.
임계 영역이란?✅ 답변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교착상태(데드락)란 무엇이며, 교착상태가 발생하는 조건을 설명해주세요.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