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enRepository 변경에 대한 제안 #42
Replies: 5 comments 20 replies
-
Repository는 데이터를 엑세스하는 요소로만 사용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Token을 가져오는 행위가 로그인 유무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비즈니스 로직이라고 생각해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는 로그인 유무를 가져오는 것만 비즈니스 로직이라고 생각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도메인 모델명은 Token으로 유지하면서, AuthRepository AuthLocalDatasource 이렇게 변경한다는 얘기인가요?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유저는 UserRepository를 통해 가져오고, Poster 부분의 경우에는 논의를 해봐야 할 것 같네요. 저라면 Poster객체가 PosterThumbNail을 포함하는 영역이라면 하나의 Poster 객체로 두고 관리할 것 같아요.Repository는 PosterRepository로 생성하구요. 그것을 어떻게 보여줄지는 화면의 책임이구요. 지금 생각해보니 저희의 Domain Model(클아 에서는 Entitiy라고 명칭)을 정하는 규칙이나 나름의 정의가 필요한 것 같네요. 근데 너무 애매해서 사실 정하기 너무 어려운 것 같아요. 특히 안드로이드는 도메인의 역할이 많이 필요 없다고 여겨지니 더더욱 그런 것 같구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동감합니다 트레이드 오프영역이에요 Domain Model을 포함한 Domain Layer은 일관적으로 규칙을 정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닌 것 같아요. 구현시에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해야하는 영역으로 보입니다.
장점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TokenRepository의 사용성에 대해 변경제안 드립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 같은 고민을 했었는데, DataSource를 활용해서 아래와 같이 해결하였습니다.
repository
datasource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